top of page

현실적인 선택지, 30년 고정 금리 모기지(30-year fixed-rate mortgage)를 선택하는 이유

  • Writer: Matt Han
    Matt Han
  • Aug 1
  • 2 min read

Updated: Aug 17


미국에서집사기, 미국첫집, 론오피서, 집 사는법, 융자 받는법, 모기지론, 모기지 받는법, 투자용집, matt han

 

 미국 경제 전문지 포춘(Fortune)의 2025년 7월 2일 보도에 따르면, 미국 내 전체 모기지의 약 92% 이상이 고정 금리 상품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고정 금리 상품이 시장 내에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고정 금리 중에서도 가장 보편적인 상품은 단연 30년 고정 금리 모기지(30-year fixed-rate mortgage)인데, 이는 30년 동안 이자율이 변하지 않고 추가 원금 상환이 없을 경우, 30년 후 모든 모기지 페이먼트를 완납하게 된다는 의미다. 그렇다면 왜 대다수의 구매자들이 30년 고정 금리를 선택하는 것일까? 이번 칼럼에서는 그 이유와 장단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고정 금리 상품에는 30년 외에도 15년, 10년 등 상대적으로 짧은 만기 상품이 존재하지만, 실제로는 30년 고정 금리를 선택하는 사례가 압도적으로 많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짧은 만기 상품에 비해 월 페이먼트 부담이 현저히 낮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40만불 융자를 받는 동일한 조건의 구매자가 15년 고정으로 5.875%의 이자율을 적용받을 경우, 한 달 원금과 이자 페이먼트는 $3,348.47이다. 반면, 30년 고정으로 6.5%의 이자율을 적용받는다면, 한 달 원금과 이자 페이먼트는 $2,528.27로 매달 $820.20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처럼 월 페이먼트가 낮다는 것은 단순한 금액 차이를 넘어, 가계(家計) 운영에 실질적이면서도 심리적인 안정을 제공한다. 낮은 고정 비용 구조는 현금 흐름의 유연성을 확보하는 데 큰 도움이 되며, 예상치 못한 지출이나 소득 감소 상황에서도 재정적 대응 여력을 키울 수 있다. 절감된 자금은 비상자금 마련, 추가 투자, 리모델링 등 다양한 경제적 목적에 활용될 수 있다. 결국 급변하는 경제 환경 속에서 이러한 유연성은 장기 재정 전략의 핵심 요소로 작용한다.


뿐만 아니라, 30년 고정 금리는 15년과 같은 짧은 고정 금리 상품에 비해 융자 심사 승인에도 유리하게 작용한다. 앞서 언급한 30년 고정과 15년 고정 금리의 페이먼트를 기준으로, 원금과 이자 외에 재산세, 집 보험, HOA 등 기타 비용이 한 달에 $1,000 발생한다고 가정해 보자. 이 때 구매자의 월 소득이 $8,000이라면, 융자 심사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인 DTI(Debt-to-Income ratio) 계산에서 30년 고정 금리의 낮은 월 페이먼트로는 승인 요건을 충족하게 된다. 하지만 15년 고정 금리의 높은 페이먼트로는 승인 기준을 통과하기 어렵다. 즉, 30년 고정 금리는 구조적으로 융자 승인 과정에서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는 상품이라 할 수 있다.


물론 단점도 존재한다. 30년 고정 금리는 항상 짧은 기간의 고정 금리 상품보다 이자율이 높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금융기관의 입장에서는 30년이라는 긴 기간 동안 대출금을 회수해야 하며, 그 사이 시장 금리가 상승하거나 미래의 화폐 가치가 하락할 가능성도 감수해야 한다. 따라서 만기가 길어질수록 금융기관은 리스크를 상쇄하기 위해 더 높은 이자율을 부과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 속에서 30년 고정 금리는 월 페이먼트를 낮출 수 있는 대신 총 이자 부담이 크게 증가한다는 딜레마가 따른다. 앞선 예와 같은 조건으로 30년 고정과 15년 고정 금리의 총 이자 납부액을 비교해 보면, 30년간 상환 시 총 이자 납부액은 $510,179.81이고 15년간 상환 시 납부하는 이자액은 총 $202,725.75이다. 결과적으로, 30년 고정 금리일 경우 무려 $307,454.06의 이자를 더 납부하게 되는 셈이다.


필자는 팬데믹 시절 2%대 이자율을 활용해 15년 또는 10년 고정 금리 상품으로 재융자하거나 주택을 구매한 고객들을 자주 접한 바 있다. 하지만 현재처럼 고금리가 장기화된 시장에서는 30년보다 짧은 고정 금리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안정적인 현금 흐름과 높은 페이먼트를 감당할 수 있는 소득이 충분히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30년 보다 짧은 고정 금리 상품은 융자 승인을 받더라도 오히려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대다수의 구매자들이 장기적 총 상환액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30년 고정 금리를 선택하는 이유는 분명하다. 낮은 월 페이먼트가 주는 재정적 안정감, 장기 재무 전략을 세울 수 있는 여유, 그리고 현실적인 승인 가능성 때문이다. 어쩌면 이러한 합리적인 이유들로 인해, 오늘날 30년 고정 금리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현실적 필수’가 되었는지도 모른다.




            융자 상담: 725-999-8898 / matt.han@mtgog.com





bottom of page